현대자동차가 넥쏘 수소전기차 기술 기반의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으로 전력을 생산해 수소 산업 확대에 앞장선다.
현대차가 한국동서발전, 덕양과 함께 독자기술로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시범 운영에 본격 착수한다. 앞서 3사는 2019년 4월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범사업 MOU’를 체결하고 울산 화력발전소 내 1M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구축 및 시범사업 추진에 협의한 바 있으며, 향후 2년간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현대차가 개발한 1M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은 500kW의 전력 생산이 가능한 컨테이너 모듈 2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넥쏘 수소전기차의 차량용 연료전지 모듈을 발전용으로 활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울산 지역의 석유화학 단지에서 생산된 부생수소를 수소 배관망을 통해 공급받는 해당 설비는 연간 생산량이 약 8,000MWh로 이는 월 사용량 300kWh 기준 약 2,200세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여러 대의 넥쏘 수소전기차 파워 모듈이 컨테이너에 탑재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향후 컨테이너 대수에 따라 수십 내지 수백 MW로 공급량 확장도 가능하다.
해당 설비에는 기존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과 달리 현대차의 차량용 연료전지 기술이 적용되어 실시간으로 전기 생산량을 빠르게 조절해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가지는 전력 수급 변동성의 문제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현대차와 한국동서발전, 덕양은 국내 연료전지 발전 시장의 부품 국산화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의 대부분은 해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부품 교체 및 유지 비용이 높았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국내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어 향후 시장이 확대될 경우 발전용 연료전지 가격과 더불어 수소차 가격 하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 주영삼 기자
GM,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고 자율주행차 상용화 박차 (0) | 2021.01.21 |
---|---|
현대 월드랠리팀 드라이버 '티에리 누빌', 코드라이버 '니콜라스 질술'과 결별 (0) | 2021.01.20 |
정찬성팀 VS 이동휘팀,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뮤즈 시즌 2' 모집 (0) | 2021.01.20 |
전기로 달리는 사자.. 푸조, '푸조 전기차 사자' 캠페인 진행 (0) | 2021.01.19 |
르노삼성 XM3, 국토교통부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에서 우수성 입증 (0) | 2021.01.19 |
댓글 영역